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서 유료방송 콘텐츠 시장이 전면 개방되는 것이 확실시 됨에 따라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업계의 판도 변화가 예고된다.
2일 최종 조율단계인 이번 협정에서 보도와 종합편성, 홈쇼핑을 제외한 일반 PP에 대한 외국인 간접투자는 100% 개방됐다.
일반 PP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를 49%로 제한한 현행 방송법은 유지됐지만 간접투자를 100% 허용함에 따라 1천600만 가입가구를 보유한 유료방송 콘텐츠 시장을 미국에 열어줬다.
PP개방은 협정발효 3년 후로 유예기간을 뒀으며 협정 발효까지 2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돼 5년 뒤면 타임워너와 디즈니, 비아컴, 뉴스콥, NBC유니버설 등 미국의 거대 미디어그룹들은 국내에 100% 출자한 법인을 설립해 국내 유료방송 콘텐츠 시장을 잠식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폭스채널이나 카툰네트워크, ESPN, MTV 등은 국내 합작법인을 통해 PP사업을 하고 있지만 이들의 지분은 49%로 제한돼 경영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또 디즈니채널 등은 해외채널 재전송 형식으로 국내에 진입, 우리말 더빙을 하지 못해 시청률은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막강한 자본력을 가진 미국 거대 미디어그룹들이 5년 뒤 100% 지분을 갖는 법인을 세워 국내 PP로 진입한다면 우리말 더빙이나 광고영업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은 크게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국내 진출이 제한된 이들은 영화나 TV시리즈, 애니메이션, 오락프로그램, 스포츠중계권 등을 국내 PP에 판매했지만 직접 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판권을 독점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국내 PP에 판권을 팔더라도 지금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제시할 것은 분명하다.
국내 케이블ㆍ위성TV 시청률을 장악하고 있는 MPP인 온미디어와 CJ미디어의 주요 채널들은 대부분 미국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5년 뒤 PP업계의 판도는 지금과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TNS미디어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케이블채널에서 장르별 점유율은 드라마(25.0%)가 가장 높고 영화(20.5%), 어린이(15.2%), 연예오락게임(9.5%), 스포츠(8.2%) 등의 순으로 지상파계열 PP인 드라마장르를 제외한 나머지 상위 장르는 미국 프로그램 의존도가 상당히 크다.
앞으로는 '프리즌 브레이크'를 온미디어의 채널인 수퍼액션을 통해서 미국 현지 방송과 시차를 두고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폭스채널을 통해 미국과 거의 동시에 볼 수 있게 된다면 미국 채널들은 유료방송 뿐 아니라 지상파방송의 시청률도 빼앗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 상황에서도 '미드족'이라 불릴 정도로 미국 드라마에 열광하는 층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를 거의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을 때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또 지난해 케이블채널 시청률 5, 7위를 기록한 OCN과 채널CGV에서 볼 수 있는 최신 할리우드 영화도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시청률도 하락이 불가피하다.
이밖에 세계적 스포츠채널인 ESPN도 지금은 MBC와 합작법인 형태지만 앞으로는 직접 영업을 할 수 있어 메이저리그야구와 미국프로골프투어에서 한국 선수들의 활약상은 ESPN 등 미국 채널을 통해서 봐야할 수도 있다.
방송위원회에 따르면 홈쇼핑채널을 제외한 전체 PP들의 2005년 매출액은 모두 1조4천186억 원으로 해마다 20% 가량의 성장하고 있어 미국 미디어그룹의 국내시장 잠식 규모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PP의 2005년 수출은 325만달러인 반면 수입은 10배 가량인 3천52만달러에 달했으며 앞으로 판권 가격 인상 등에 따라 적자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수입의 경우 미국에서 수입하는 프로그램이 전체 수입액의 68.5%를 차지하고 있어 미국에 개방한 것은 다른 나라에 비해 영향력이 훨씬 클 수 밖에 없다.
이러한 PP 업계의 타격은 아직도 유치산업단계에 있는 국내 방송영상산업에도 상당한 위협이다.
과거 외국 프로그램 구입으로 비교적 손쉽게 돈을 벌어온 온미디어와 CJ미디어 등 국내 MPP들이 최근에는 자체제작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번 개방으로 수익성이 악화된다면 자체제작을 늘리기 어렵기 때문.
CJ미디어가 지난해 개국한 tvN과 OCN은 '하이에나'와 '썸데이' 등 지상파방송과 비슷한 제작규모로 드라마를 제작하면서 지상파방송에 얽매였던 독립제작사들은 유통창구가 확대돼 방송영상산업이 활로를 찾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PP 시장을 미국에 내주면서 이제 겨우 한류에 기대어 꽃피워 보려던 방송영상산업에는 찬물이 끼얹어졌다.
특히 동아시아의 한류는 '반(反)한류'와 '항(抗)한류'의 징후가 나타나면서 지난해 방송 한류의 주축인 드라마의 수출 비중이 77%로, 2005년의 92%에서 대폭 감소하는 등 한류도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방송위는 앞으로 5년동안 1조 원 정도의 재정적 지원 등을 포함한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전해졌지만 개방에 따른 피해를 보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국내 PP들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원론적 방법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 PP들은 핵심적인 일부 제작 기능을 강화하면서 독립제작사와 제휴하는 것이 이상적인 모델이다.
이미 한미FTA라는 변수 외에도 PP사업자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국내외 판권은 꾸준히 오르는 추세였다. 실제로 CJ미디어는 최근 일본 격투기 K-1의 중계권을 3년 전 가격보다 20배 정도 오른 150억 원에 사들이기도 했다.
삼성증권 구창근 애널리스트는 "수익성과 조직의 통제가능성 측면에서는 제작기능의 아웃소싱 극대화가 바람직한 전략이지만 수익성보다 우선하는 콘텐츠 공급의 안정성과 제작사와의 전략적 관계 유지를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제작기능과 콘텐츠 소싱을 추구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모든 제작기능을 내부화하기 어려운 독립제작사들과의 제휴를 위해 스튜디오와 하드웨어, 캐스팅 기능, 기타 제작 관련 인력들이 준비돼 있어야 한다"며 "이같은 조건들이 제작사들과의 관계를 둘러싼 지상파방송사업자들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물적 토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2일 최종 조율단계인 이번 협정에서 보도와 종합편성, 홈쇼핑을 제외한 일반 PP에 대한 외국인 간접투자는 100% 개방됐다.
일반 PP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를 49%로 제한한 현행 방송법은 유지됐지만 간접투자를 100% 허용함에 따라 1천600만 가입가구를 보유한 유료방송 콘텐츠 시장을 미국에 열어줬다.
PP개방은 협정발효 3년 후로 유예기간을 뒀으며 협정 발효까지 2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돼 5년 뒤면 타임워너와 디즈니, 비아컴, 뉴스콥, NBC유니버설 등 미국의 거대 미디어그룹들은 국내에 100% 출자한 법인을 설립해 국내 유료방송 콘텐츠 시장을 잠식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폭스채널이나 카툰네트워크, ESPN, MTV 등은 국내 합작법인을 통해 PP사업을 하고 있지만 이들의 지분은 49%로 제한돼 경영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또 디즈니채널 등은 해외채널 재전송 형식으로 국내에 진입, 우리말 더빙을 하지 못해 시청률은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막강한 자본력을 가진 미국 거대 미디어그룹들이 5년 뒤 100% 지분을 갖는 법인을 세워 국내 PP로 진입한다면 우리말 더빙이나 광고영업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은 크게 달라질 수 밖에 없다.
국내 진출이 제한된 이들은 영화나 TV시리즈, 애니메이션, 오락프로그램, 스포츠중계권 등을 국내 PP에 판매했지만 직접 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판권을 독점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국내 PP에 판권을 팔더라도 지금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제시할 것은 분명하다.
국내 케이블ㆍ위성TV 시청률을 장악하고 있는 MPP인 온미디어와 CJ미디어의 주요 채널들은 대부분 미국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5년 뒤 PP업계의 판도는 지금과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TNS미디어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케이블채널에서 장르별 점유율은 드라마(25.0%)가 가장 높고 영화(20.5%), 어린이(15.2%), 연예오락게임(9.5%), 스포츠(8.2%) 등의 순으로 지상파계열 PP인 드라마장르를 제외한 나머지 상위 장르는 미국 프로그램 의존도가 상당히 크다.
앞으로는 '프리즌 브레이크'를 온미디어의 채널인 수퍼액션을 통해서 미국 현지 방송과 시차를 두고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폭스채널을 통해 미국과 거의 동시에 볼 수 있게 된다면 미국 채널들은 유료방송 뿐 아니라 지상파방송의 시청률도 빼앗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 상황에서도 '미드족'이라 불릴 정도로 미국 드라마에 열광하는 층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를 거의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을 때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또 지난해 케이블채널 시청률 5, 7위를 기록한 OCN과 채널CGV에서 볼 수 있는 최신 할리우드 영화도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시청률도 하락이 불가피하다.
이밖에 세계적 스포츠채널인 ESPN도 지금은 MBC와 합작법인 형태지만 앞으로는 직접 영업을 할 수 있어 메이저리그야구와 미국프로골프투어에서 한국 선수들의 활약상은 ESPN 등 미국 채널을 통해서 봐야할 수도 있다.
방송위원회에 따르면 홈쇼핑채널을 제외한 전체 PP들의 2005년 매출액은 모두 1조4천186억 원으로 해마다 20% 가량의 성장하고 있어 미국 미디어그룹의 국내시장 잠식 규모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PP의 2005년 수출은 325만달러인 반면 수입은 10배 가량인 3천52만달러에 달했으며 앞으로 판권 가격 인상 등에 따라 적자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수입의 경우 미국에서 수입하는 프로그램이 전체 수입액의 68.5%를 차지하고 있어 미국에 개방한 것은 다른 나라에 비해 영향력이 훨씬 클 수 밖에 없다.
이러한 PP 업계의 타격은 아직도 유치산업단계에 있는 국내 방송영상산업에도 상당한 위협이다.
과거 외국 프로그램 구입으로 비교적 손쉽게 돈을 벌어온 온미디어와 CJ미디어 등 국내 MPP들이 최근에는 자체제작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번 개방으로 수익성이 악화된다면 자체제작을 늘리기 어렵기 때문.
CJ미디어가 지난해 개국한 tvN과 OCN은 '하이에나'와 '썸데이' 등 지상파방송과 비슷한 제작규모로 드라마를 제작하면서 지상파방송에 얽매였던 독립제작사들은 유통창구가 확대돼 방송영상산업이 활로를 찾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PP 시장을 미국에 내주면서 이제 겨우 한류에 기대어 꽃피워 보려던 방송영상산업에는 찬물이 끼얹어졌다.
특히 동아시아의 한류는 '반(反)한류'와 '항(抗)한류'의 징후가 나타나면서 지난해 방송 한류의 주축인 드라마의 수출 비중이 77%로, 2005년의 92%에서 대폭 감소하는 등 한류도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방송위는 앞으로 5년동안 1조 원 정도의 재정적 지원 등을 포함한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전해졌지만 개방에 따른 피해를 보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국내 PP들이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원론적 방법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 PP들은 핵심적인 일부 제작 기능을 강화하면서 독립제작사와 제휴하는 것이 이상적인 모델이다.
이미 한미FTA라는 변수 외에도 PP사업자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국내외 판권은 꾸준히 오르는 추세였다. 실제로 CJ미디어는 최근 일본 격투기 K-1의 중계권을 3년 전 가격보다 20배 정도 오른 150억 원에 사들이기도 했다.
삼성증권 구창근 애널리스트는 "수익성과 조직의 통제가능성 측면에서는 제작기능의 아웃소싱 극대화가 바람직한 전략이지만 수익성보다 우선하는 콘텐츠 공급의 안정성과 제작사와의 전략적 관계 유지를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제작기능과 콘텐츠 소싱을 추구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모든 제작기능을 내부화하기 어려운 독립제작사들과의 제휴를 위해 스튜디오와 하드웨어, 캐스팅 기능, 기타 제작 관련 인력들이 준비돼 있어야 한다"며 "이같은 조건들이 제작사들과의 관계를 둘러싼 지상파방송사업자들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물적 토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