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준희 샤우트풋볼166] 2010년판 스리백? 변형 수비 시스템 사례들
◇ 최근의 축구에서 스리백을 '기본' 전형으로 삼는 팀이 적은 이유?
- 홀수 숫자의 공격수(원톱 or 스리톱)를 활용하는 포진에 구조적 난점을 내포하기 때문
- 실제로 4-2-3-1, 4-3-3 등 최근에는 '홀수톱'을 활용하는 팀들이 많음
- 그러나 스리백이 모든 상황에서 완전히 폐기된 것은 아님.
- 홀수 숫자의 공격수(원톱 or 스리톱)를 활용하는 포진에 구조적 난점을 내포하기 때문
- 실제로 4-2-3-1, 4-3-3 등 최근에는 '홀수톱'을 활용하는 팀들이 많음
- 그러나 스리백이 모든 상황에서 완전히 폐기된 것은 아님.
◆ 2010년판 스리백? - 변형 수비 시스템의 사례들!
1. ‘센터백 역할을 맡는 수비형 미드필더’의 사례 (가장 일반적)
* 바르셀로나 & 스페인
- 부스케츠가 피케, 푸욜과 더불어 상황에 따라 스리백을 형성
- 피케와 푸욜이 양 측면으로 넓게 벌려나간 중앙 공간으로 부스케츠가 들어오면서 스리백 형태를 취함
- 스페인의 경우 부스케츠의 위치에 따라 4-2-3-1과 3-4-3을 오가게 됨
- 양 측면 수비수들의 적극적인 공격 가담과 맞물리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포진
- WC 결승에서 부스케츠는 상대의 키 플레이어인 스네이더를 적절히 제어하는 데에도 큰 공을 세움
* 브라질
- 질베르투 실바가 수비 라인으로 내려오며 센터백의 한 자리를 점유
- 역시 마이콘, 바스토스와 같은 양 측면 수비의 공격 가담을 뒷받침하기 위한 시스템
2. 상대 시스템에 따른 유연한 대응의 사례
* 비엘사의 칠레
- 상대에 따라 수비 대형이 바뀌는 대표적인 팀(3-3-1-3을 선호하지만 스리백만을 사용하지 않음).
- 상대가 공격수 한 명을 기용할 때에는 포백(양 측면 수비는 적극적으로 공격에 가담).
- 상대가 공격수 두 명을 기용할 때에는 스리백.
- 상대가 공격수 세 명을 기용할 때에는 포백(양 측면 수비는 공격 가담 자제).
- 근본적으로 칠레는 높은 지역에서부터의 압박과 전체 선수들의 기동력에 바탕한 공격적인 경기 운영
3. ‘포어 리베로’에 적합한 자원을 보유한 사례
* 멕시코
- 4-1-2-3과 3-4-3을 오가는 멕시코에서 전체 시스템의 중심은 ‘포어 리베로’ 마르케스
- 마르케스는 적절한 상황 판단에 따라 미드필드와 중앙 수비를 오가며 활약
- 멕시코가 볼을 소유할 경우 마르케스는 미드필드로 올라와 볼을 점유하고 분배하는 일에 적극 가담
- 스페인, 브라질의 경우와 유사하게 측면 수비의 적극적 공격 가담을 뒷받침하는 시스템
- 칠레와 유사하게 매우 공격적인 마인드를 지닌 스리백
'♡ 스포츠영상발전소 > 한준희 영상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준희 샤우트풋볼168] 유럽 축구의 어두운 단면, 인종차별! (0) | 2010.11.04 |
---|---|
[ⓜ 한준희 샤우트풋볼167] 스리백이 통했던 우승의 사례들! (0) | 2010.10.29 |
[ⓜ 한준희 샤우트풋볼165] 여자축구 상승세, 피스퀸컵에서 아시안게임까지 (0) | 2010.10.15 |
[ⓜ 한준희 샤우트풋볼164] 일본팀 포메이션 분석 및 관전포인트! (0) | 2010.10.10 |
[ⓜ 한준희 샤우트풋볼163] 유럽에서 놀라움을 선사한 작은 클럽은? (0) | 2010.10.02 |